메뉴
CSV 자동 로딩 산업단지 지도
경력개발 은퇴설계 대학전공진로 자격증 국내산업단지 직업의 세계

지역산업단지현황

여수국가산단
주요업종: 정유, 석유화학
입주사: 📂
산업단지내 고용인원은 약 24,000~25,000명
주요 기능 및 산업 역할 : 석유화학 분야 주도: 단지는 한국 에틸렌 생산의 약 46–49%를 차지하는 국내 최대 석유화학 중심지
주요 주요 기업: LG화학, 롯데케미칼, GS칼텍스, 여천NCC(한화), 금호석유화학 등이 주요 기업으로 참여해 전체 생산량의 약 84%를 차지함
물류 및 교통 인프라 : 항만: U‑1 화물부두, 석유화학부두, 원유부두, 코스모스부두 등 총 32개 선석을 갖춘 뛰어난 해상 물류 인프라 보유

교통망

고속도로: 서울–여수 약 347km, 부산–여수 약 178km
KTX: 서울역 → 여수엑스포역 약 3시간
여수공항: 김포 및 제주공항과 1시간 거리
울산석유화학단지
산업유형: 석유화학

규모 및 구성

울산에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 단지(약 74 ㎢)**가 구축되어 있으며, SK에너지·S‑OIL 등 대규모 정유 공장들과 SK지오센트릭, 롯데케미칼, BP, 듀폰 등 글로벌 화학기업들이 집적

생산 현황

울산의 석유화학업체 293곳이 총 153조 원 규모의 생산을 담당,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 생산 도시
2022년 기준, 울산은 국내 석유화학 생산액의 약 27%를 차지하며,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등 주요 지표에서도 전국 1위를 기록

R&D 및 미래 전략

울산은 한국화학연구원 정밀·바이오화학연구본부, 울산테크노파크의 정밀화학소재기술지원단 등 국책 연구기관과 R&D 기반이 확충되어 있으며, 바이오·정밀·나노화학등 첨단 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첨단화학 산업의 아시아 최고 도시’ 비전을 실현해 나가고 있슴
구미국가산단
산업유형: 전자, 디스플레이

단지 구성 현황 (2023년 기준)

입주 기업 수: 2,474개사
가동 기업 수: 2,151개사
고용 인원: 80,968명
연간 생산액: 46조 1,778억 원
누계 수출액: 249.6억 달러

업종별 입주 현황 (기업 수 / 종사자 수):

전기·전자: 1,048개사 / 41,619명
기계: 807개사 / 21,536명
석유·화학: 268개사 / 6,872명
기타 산업도 다양하게 구성됨

입지조건 & 교통 인프라

위치: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시미동·산동읍 및 칠곡군 일원
도로: 경부고속도로 '구미IC'·'남구미IC' 이용 (서울 257km, 부산 180km, 대구 33km)
철도: 구미역(경부선) 약 3.5km, KTX 김천구미역 약 18km
공항: 대구공항 약 40km 거리
항만: 부산항 150km (연간 9천만 톤), 포항항 약 130km (연간 5,341만 톤)
창원국가산단
산업유형: 기계
대표 입주사: 두산에너빌리티

산업단지 구성

위치 및 규모: 창원국가산업단지는 창원 시 중심부, 특히 창원대로 남쪽 일대에 조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25,729,000㎡ (≈25.7 km²)
주요 입주 업종은 기계·장비 제조업, 전기·전자, 운송장비(교통장비)등이 있으며, 정밀 기계 분야 특화, 2022년 기준 약 2,922개 기업, 근로자 수 약 116,700명규모

교통 및 물류 인프라

도로망: 국도 14호선과 25호선이 산업단지에 직통하며, 진입도로 길이만 71km
남해고속도로등 주요 고속도로 접근성도 좋고, 창원은 기계 산업 중심 벨트 상 핵심 요충지
철도 연계: 경전선이 산업단지를 가깝게 지나며, 진해선이 단지를 통과해 화물 운송에 활용
KTX 창원역을 포함해 마산·중앙역 등 여러 역이 있어 철도 접근성 우수
항만 접근: 인근에 마산항, 산업단지 내에 적현·귀곡 부두가 있으며, 각각 20,000톤급 선박 7척, 2척이 동시에 접안 가능한 시설과 연간 약 245만 톤의 하역 능력을 갖춤
항공과 기타 물류: 김해국제공항이 약 30~40km 거리에 있어 물류 및 인력 이동에 유리
반월산단
산업유형: 기계, 전자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위치 및 규모:

위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성곡동, 신길동, 목내동, 초지동 일원
면적: 약 15,374천㎡ (산업시설 7,915 / 지원시설 420 / 공공시설 2,068 / 녹지 4,932)
입주 기업 수: 약 8,500여 개
고용 인원: 11만 명 이상
연간 생산액: 약 37조 원, 수출 규모 약 71억 달러
대표적인 집적 업종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및 뿌리산업중심이며, 첨단산업 기반으로 지속적 구조고도화가 진행중

교통 및 물류 인프라

지하철 접근성: 원시역과 시우역(서해선)이 반월단지 근처에 개통되어 있으므로 접근성이 양호한 편. 다만, 산단 내부까지의 직통 대중교통 수단은 부족하며, 개별 기업 접근성이 다소 떨어짐
충전 기반 수요응답형 버스(DRT)시스템이 도입되어 출퇴근 편의 개선 중
편의 기반 시설 및 혁신 공간: 안산스마트스퀘어지식산업센터, 스마트허브 복합문화센터, 호텔스퀘어등 복합시설들이 조성되어 근로자 복지 및 기업 지원 기능을 제공
시화산단
산업유형: 정밀가공

입지 및 단지 규모

위치: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일원 및 안산시 성곡동 일원에 걸쳐 조성
면적: 약 16,121천㎡규모 중, 산업시설 약 10,431천㎡, 지원시설 1,354천㎡, 공공시설 3,527천㎡, 녹지 809천㎡로 구성

대표 입주 업종 및 기업 현황

산업 구성은 주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및 뿌리산업, 기계, 전기·전자 관련 중소기업 중심의 집적이 특징
기업 수 및 고용 규모: 시화단지 포함 반월·시화·시화MTV는 각각 수천 개 기업이 입주하며 전체 고용 인원 역시 수만 명대로 구성.

기반시설 현황

도로 개선 중: 산업단지 내 주요 도로(공단1대로, 공단2대로, 마유로, 옥구천동로, 정왕천로 등)의 노후 인프라를 개선하는 재생 사업이 진행 중이며, 2027년 말 준공 목표
첨단 교통 인프라 도입: 교통 안전 향상을 위해 정왕7교 사거리에 보행자 및 운전자를 위한 바닥 신호등을 시범 설치했으며, 향후 주요 사거리에도 확대 예정
포항철강산단
산업유형: 철강
대표 입주사:포스코

입지 및 구성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일대에 위치, 포항 시내 중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5km 떨어져 있고,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인접
청림단지: 소규모(약 5,900 ㎡)로 4개 업체 입주
중량 연관 산업 중심: 포스코 제철소와의 인접성을 활용해 대강(帶鋼), 파이프, 철근, 석판 등 1차 금속 관련 가공업이 중심을 이루며, 관련 지원 업종(건설, 운수, 하역업 등)이 함께 자리함
종업원 수: 총 19,145명 (남성 약 17,707명, 여성 약 1,438명), 1단지에 약 11,151명이 집중

업종

1차 금속: 81개 업체, 조립금속: 45개 업체, 비금속: 27개 업체, 석유화학: 28개 업체, 목재: 2개 업체, 지원업체: 23개 업체
청주오창산단
산업유형: 반도체, 바이오
대표 입주사: SK하이닉스

산업 특성과 대표 입주사 현황

이차전지·소재·부품·장비(SMCE) 특화집적단지로, LG화학 등 이차전지 관련 기업과 테크노파크 등 혁신기관이 함께 위치
오창테크노폴리스에는 방사광가속기 등 연구 인프라가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기술 고도화 입주사들이 참여하고 있슴

입지교통 & 생활 인프라

교통 접근성 우수: 경부·중부고속도로 인근, 오창 IC를 통해 주요 도시로의 이동이 용이하며, 청주국제공항, 오송 KTX역(경부·호남선), 청주역, 조치원역과 연결

생활·상업시설 밀집:

단지 중심에 메가박스 영화관, 홈플러스, 중심상업지구 조성
또한, 오창호수공원, 중앙공원, 양청공원등 녹지 공간이 많아 쾌적한 환경 제공
주거 옵션 다양: ‘스카이베이 더 파크 청주’와 같은 컨시어지 서비스형 생활숙박시설들이 공급 중, 호텔식 편의성을 갖춘 주거 선택지가 마련됨
아산탕정디스플레이단지
산업유형: 디스플레이
대표 입주사: LG디스플레이
위치: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용두리 일대로, *아산디스플레이시티 1단지(준공)*과 *2단지(조성 중)*로 구성

입주사 직원 생활 편의 입지정보&교통 인프라

도로 접근성: 인근에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1호선, 41호선, 이순신대로가 위치하며, 아산 IC를 통한 진출입이 가능해 수도권 및 전국 접근성이 매우 뛰어남
단지 남측에는 천안아산역(KTX·SRT)이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도 우수
주거 시설: 탕정 디스플레이시티 인근에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등 공공택지 기반 아파트 단지 조성 중이며, 학교, 공원, 도로 등 기반시설이 함께 구축되어 분위기 좋고 실거주에 적합한 주거 여건을 갖춤
삼성디스플레이 유치 이후 탕정 지역은 빠르게 인구가 증가하면서(10년 만에 약 10만명 이상 증가) 상권과 생활 인프라가 활발하게 조성 중
천안제5산단
산업유형: 전자
대표 입주사: 삼성디스플레이
위치: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화리 일원에 조성된 외국인전용 산업단지(제5산단), 현재 확장사업 진행 중
규모: 기존 단지: 약 1,187천㎡(공장용지 556천㎡, 공공·지원 시설 631천㎡)
대표 업종: 석유화학, 철강, 기계, 전기·전자 등 다양한 제조업 입주.

생활편의 입지 정보 (직원 중심)교통 환경

광역 교통망: 경부고속도로·서울세종고속도로(제2경부고속도로) 인근에 위치, 동천안IC 예정, 국도 21호선 인접등의 우수한 접근성
확장단지의 미래 인프라: 확장 부지에서는 500 MW급 LNG 발전소 건설 계획도 추진 중이며, 지역 전력 자립과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전망
부산녹산국가산단
산업유형: 자동차, 조선
대표 입주사: 르노삼성

산업단지 개요 및 대표 산업

구성: 대규모 산업구역으로, ‘녹산지구(생산 중심)’와 ‘명지지구(지원 중심)’로 나뉘며 전체 면적은 약 2,109천 평
주요 업종: 조선기자재, 기계, 전기·전자, 자동차 부품 생산 중심. 특히 기계·전기·전자 분야가 전체 생산량의 약 58%를 차지
입주 기업 수: 약 1,517개사, 2023년 기준 생산액은 약 13조 원, 수출액은 약 48억 달러

교통 및 물류 인프라

부산신항, 가덕도 신공항 예정지와 인접해 있어 물류 접근성이 뛰어남. 칠산교, 신호대교등을 통한 도로 연결로 산업단지 접근성이 강화
스마트 물류 시스템 도입: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Smart Logistics Platform(무인 저장·운송 시스템), 통합관제센터, 에너지 자급형 인프라(FEMS, 태양광)등이 구축되어 업무 효율성과 근무 안정성이 크게 향상. 대중교통은 버스 위주로 일부 노선만 있으나, 배차 간격이 넓어 접근성에 불편
인천남동국가산단
산업유형: 기계
대표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입지 및 단지 개요

위치: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남촌동, 고잔동 일원에 조성

단지 규모 및 기업수:

총면적은 약 9,574천㎡이며, 산업시설, 지원시설, 공공시설, 녹지 등으로 구성
입주업체 수는 약 8,000여 개, 근로자 수는 약 10만 명수준으로, 지역 제조업 중심지 역할을 수행대표 입주산업
주요 업종 구성: 기계·전기·전자·석유화학 중심이며, 특히 기계 산업이 절반 가까이 차지
첨단 전환 노력: ‘스마트그린산단’ 및 ‘산단 대개조’ 대상지로 지정되어, 물류플랫폼, 녹지 및 문화·복지시설 확충 등 산업·복지시설 복합화를 추진 중
교통 접근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춘 도심형 산단으로, 공항, 항만, 고속도로, 도시철도망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유일한 산단
대불산단
산업유형: 조선기자재
대표 입주사: 현대삼호중공업

입지 및 대표 입주 기업

위치: 전남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난전리·용앙리 일대. 포항 등 북부 산업단지와 달리 전남 서남권 경제의 중심 역할
업종 구성: 주로 조선·선박 관련 중공업과 기계, 운송장비 등이 다수 포진. 입주 기업 수는 약 390개사, 연간 생산액은 1조7434억 원, 수출액은 약 116만 달러 수준

기반시설 현황

주거환경 관련: 영암군에서 배후 주거단지 조성 및 여성 안심 귀갓길 조성, 자전거도로 정비, 거리 환경 개선 등
직원 생활 편의 인프라 : 복합문화센터 운영: 산단 내에 조성된 복합문화센터는 한국어 강의, 근로환경 교육, 작은 영화관, 세탁소, 체력 관리실등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특히 외국인 근로자 중심의 상생 공간으로 호평받고 있슴
산업단지환경개선 국가사업: 산업부 주도로 산리단길 프로젝트, 노후 공장 청년 친화 리뉴얼, 문화센터 및 거리 개선 사업등이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문화·복지·휴식시설이 점차 확대
광주첨단산단
산업유형: AI, 자동차산업
입주사: 빛그린산단 기업군

산업단지 개요 및 대표 입주기업

위치 및 규모: 광주 북구 오룡·대촌·월출동, 광산구 비아동 등 일대에 조성된 대규모 국가산단으로, 1단지 면적 약 7,931천㎡, 2단지 약 2,060천㎡
입주기업 및 산업 구성: 2022년 기준 입주기업 수는 약 956개, 가동 중 691개이며 고용인원은 약 16,751명주요 업종으로는 첨단부품소재, 광산업(LED 등), 반도체 관련 산업이며, 삼성전자 및 엠코테크놀로지, 광기술원·전자기술연구원 등 R&D 기반 기관들이 입주, 산업단지 내에는 주거, 상업, 연구개발 기능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형성된 국내 유일의 산·학·연 복합단지로 설계

교통 및 물류 인프라

도로 접근성 : 호남고속도로 광산IC를 통해 접근이 용이하며, 서울(약 300 ㎞), 부산(약 348 ㎞), 목포(약 66 ㎞) 등 주요 지역과의 연결성이 좋음
철도·공항 등 교통망 : 호남선 송정역,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 광양항·여수·목포항 접근성 양호
직원 생활 편의 시설 및 정주 여건 : 스마트 안전·편의 인프라 구축, 인공지능(AI), IoT,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그린산단’ 프로젝트를 진행 중, 주요 시설로는 통합관제센터, 지능형 CCTV, IoT 수해방지 시스템, 무료 공공 Wi‑Fi, 스마트 정류장 쉘터, 보안등, 스마트 주차장 등이 포함
정주 환경 및 상권 : 첨단지구는 주거와 상권이 함께 형성된 신흥 도시권으로, 아파트 단지 및 자연공원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슴.
부산신평장림산단
산업유형: 금속, 조선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산업단지 개요 및 입주 현황

1980년대 조성된 부산 최초의 산업단지로, 기계·섬유·피혁·염색·식품가공 등 전통 제조업 중심의 산업 집적지. 약 600여 개 기업이 입주하여 약 1만 5천 명 이상이 근무
규모: 약 281만㎡ 규모로, 입주 기업 수는 약 700개. 연간 생산액은 약 5조 2,690억 원

혁신 및 재생 추진 현황

혁신산단 지정: 신평·장림산단은 노후거점산단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지정되어, 2024년부터 3년간 약 2,546억 원이 투입되어 디지털 전환, 저탄소화, 환경개선, 복합문화공간 조성 사업 등을 추진 중
도심형 첨단산단 전환: 지식산업센터 17곳(총 105만㎡ 규모)이 조성되며, 스마트 물류 플랫폼·혁신지원센터 등의 인프라가 점차 확충
대구성서산단
산업유형: 기계, 전자
입주사:중소기업 중심

입지 및 산업 구조

위치: 대구 달서구 갈산동, 이곡동 일대에 있으며, 공장 용지 약 734만㎡를 포함한 총면적 약 1,145만㎡로 구성된 대규모 산단
산업 구성: 섬유·의복, 조립금속, 운송장비, 전기·전자 업체가 주요 업종을 차지하며, 전체 입주기업은 약 2,753개, 가동 중인 고용 인원은 약 37,190명

교통 접근성과 기반시설

도로 인프라: 경부·중앙·구마·88고속도로 접근이 용이하며, 국도 및 지방도망도 잘 연결. 대구공항(약 18km), 대구역(약 9km) 등 주요 교통시설과도 인접
대중교통: 도시철도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이 산단 내에 있어 편리한 지하철 접근성
스마트 그린 인프라: 수소연료전지 발전소(2.31MW), 태양광 시스템, 전기 이륜차 스테이션 등을 포함한 에너지 자급형 인프라 구축 중
시설 재생 사업: 도로 정비, 주차장 신설, 녹지 조성 등 약 493억 원 규모의 기반 정비 재생 사업 진행 중
대구논공산단
산업유형: 금속, 화학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입지 및 산업 특성

위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과 현풍읍 일대에 위치, 대구 중심부에서 약 27 km 거리. 중부내륙고속도로(구마고속선) 바로 옆에 조성된 내륙형 산업단지
규모 및 구성: 총면적 약 4.07 km²로, 산업시설·지원시설·공공시설·녹지 구역으로 구성
입주 업체 및 종사자: 입주기업 약 332개사, 고용 인원 약 13,600명
주요 산업 분야: 기계(30.1%), 섬유·의복(26.4%), 석유화학, 금속, 전기·전자 등 다양한 제조업이 밀집

교통 접근성

도로망: 경부·중앙·중부내륙·88·대구–포항·대구–김해고속도로 등 총 6개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으며, 성서IC 이용이 단지 인근에 있어 교통 접근성이 매우 우수
국도 및 철도: 국도 5호선이 인근을 지나며, 철도는 동대구역까지 약 33 km 거리
공항 및 항만: 대구공항까지 약 35 km, 부산항까지 약 125 km 거리로 항공 및 해상 물류 모두 접근성이 양호

생활 기반 및 정주 환경

배후 도시 규모: 달성군 인구는 약 21만 명이며, 근교 지역의 노동력과 생활 기반이 안정적
정촌산단
산업유형: 항공우주
입주사: KAI 협력업체

입지 및 산업 구조

위치: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예하리, 예상리 일대에 조성된 산업단지
규모: 총 사업면적은 약 1,713천㎡에 달하며, 2005년 1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조성된 공영개발 방식의 국가산단
입주 업종: 구체적인 기업 수나 산업 유형은 공개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해당 지역에는 정촌일반산단 외에도 뿌리산단, 항공국가산단 등 여러 산업단지가 복합적으로 조성되어 있어다양한 제조업 기반이 형성됨
생활 편의 인프라 및 정주 환경
체육센터 조성 예정: 2025년 4월 기준, 정촌면 내 산업단지 근로자와 지역주민을 위해 체육시설(수영장) 건립사업설계공모가 실시. 이 시설은 지역 커뮤니티 강화와 근로 환경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슴
광주평동산단
산업유형: 자동차부품
입주사: 기아차협력업체

위치 및 산업 구조

위치: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옥동·월전동·용동 일원에 조성되어 있는 일반산업단지
단지 규모 및 인프라: 전체 면적은 약 4,866천㎡(4.866 km²)이며, 산업시설, 지원시설, 공공시설, 주거·녹지 등으로 균형 있게 구성, 도로, 수도, 전기, 통신, 하수도 등 필수 기반 인프라도 잘 구축됨.
도로망: 호남고속도로 동림IC를 통해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심과의 연계성이 뛰어남. 국도와 지방도로 접근성도 양호
철도 및 공항: 광주 메트로 1호선 ‘평동역이 인근에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 편의성이 좋음.
산업 구성: 전자부품, 컴퓨터 및 영상·음향 장비, 통신장비 제조업 중심으로 기업이 입주
정주 여건: 이 지역은 산단뿐 아니라 인접 상업 및 주거 공간도 잘 형성되어 있어, 직원들의 정주 만족도가 높음.
생활 상권은 산업단지 인근에 상업시설이 성장 중이라, 쇼핑, 식사, 카페 등 일상적 편의생활이 용이, 주거 지역과 인접해 있어 직원들이 출·퇴근하기 좋은 환경
송도지식산업단지
산업유형: 바이오
대표 입주사: 삼성바이오로직스

입지 및 단지 개요

위치: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송도국제도시 2·4공구 내에 조성
전체 면적: 약 2,042,000㎡ (산업시설 484천㎡, 지원시설 423천㎡, 공공시설 966천㎡, 녹지 169천㎡), 확장 계획 포함 지구 규모는 약 2,401,745㎡

업종 구성 및 대표 입주사

주요 구성: R&D 중심 지식기반 제조업, 서비스, 연구기관이 밀집된 클러스터로 조성
대표 시설: 송도테크노파크에는 생물기술실용화센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대·인하대 산학연 협력기관 등이 입주
도로 교통: 제2·3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제2외곽순환도로 등 주요 도로망과 인접해 있어 접근 편리
철도 및 공항: 지하철역 및 공항과의 연계성이 우수하며 송도AT센터 사례처럼 테크노파크역 도보권내 인프라 접근성 좋음
주거 및 상업 인프라: 송도국제도시가 복합용지로 구성되어 상업, 주거, 교육 공간이 혼합된 형태의 자족형 도시로 조성
광교테크노밸리
산업유형: IT, 반도체
대표 입주사:SK, KT

입지 및 산업 특성

위치: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신도시 중심에 접해 있는 R&D 중심의 첨단산업 클러스터
입주 기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한국나노기술원, 경기바이오센터,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 주요 연구·지원 기관이 집적
산업 구성: IT, NT, BT 융합형 첨단 기술 중심이며, 벤처기업 및 전자·음향장비 제조 기업도 일부 입주 중. 제조업 비중은 전체 입주기업의 71.6% 수준
광교신도시 연결: 신분당선 광교중앙역 도보권 내에 위치하며, 판교와 강남까지 환승 없이 20~30분 이내 이동 가능
도로망: 제2·3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망과 인접해 있어 서울·경기권 접근성이 우수
생활 기반 및 주거환경 :복합 자족형 신도시 구성: 송도지식산업단지처럼 광교신도시 자체가 주거·교육·상업·문화 시설을 균형 있게 갖춘 자족형 도시로 설계
판교테크노밸리1
산업유형: 게임, AI
대표 입주사:네이버, 카카오

입지 및 구성 개요

위치 및 규모: 판교 테크노밸리 제1단지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동에 위치하며, 약 454,964 ㎡규모로 조성된 고밀도 첨단산업 클러스터. 현재 1,800여 개의 기업이 입주했으며, 약 78,872명의 직원이 근무 중
산업 특성: IT, BT, NT, CT 등 융합기술 기반의 R&D와 스타트업 중심의 혁신 생태계로 조성되었으며, 카카오, 넥슨, 엔씨소프트, AhnLab, NHN 등 유수의 ICT 기업입주

교통 접근성

지하철: 판교역(신분당선, 경강선)을 통한 접근성이 매우 우수하며, 강남까지 지하철로 15분
도로망: 경부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 인접
생활 인프라 : 판교는 자족형 신도시로 형성되어 상업, 주거, 교육, 문화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근무 환경 외에도 정주 여건이 매우 뛰어남
판교테크노밸리2
산업유형: 바이오, 클라우드
입주사: 벤처기업 중심

개요 및 산업 구성

입주기업 수: 2024년 기준으로 제2단지에는 약 562개 기업이 입주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1% 증가
직원 규모: 임직원 수는 약 11,538명
산업 특성: 주로 IT 기반 스타트업, 중소·중견기업 중심이며, 제1단지 및 R&D 시설과 연계되어 혁신 및 상생 생태계를 형성
지하철·도로 연계: 제2단지는 판교역(신분당선)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 접근성이 뛰어나고 고속도로, 광역도로망과의 연계도 우수
향후 개선 과제: 입주기업 대상 설문에서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 '주차 환경 개선', '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며, 특히 제2단지는 교통 접근성을 통한 활성화 필요
생활 편의 & 정주 환경 : 판교신도시 내에 위치한 제2단지는 첨단 자족도시 계획과 상업·주거시설 밀집 덕분에 생활 편의가 뛰어난 환경. 쇼핑몰, 교육, 주거단지가 인접해 있어 정주 여건도 양호
세종벤처밸리
산업유형: IT, 바이오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위치 및 산업 구성

위치 및 규모: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일원에 약 58만 9,976㎡규모로 조성 중인 일반산업단지
유치 예정 업종: 의료정밀, 기계장비, 전자, 자동차부품, 의약, 화학, 금속가공, 운송장비 등 다양한 첨단 산업분야의 입주가 계획되어 있으며, 부품소재 및 일반기계 업종도 포함
투자 수혜: 국도 1호선 인접, 향후 개통 예정인 서울–세종 고속도로(제2경부선), 오송역·조치원역 등 인접 교통망으로 인해 지리적·교통적 입지 조건이 뛰어남
광역도로 접근성 우수: 국도 1호선에 인접해 있으며, 향후 개통 예정인 서울–세종 고속도로(제2경부선)와 가까워 추가적인 접근성 향상 기대
오송역과 조치원역까지 차량으로 약 10분 거리, 정부세종청사까지도 약 25분 거리로 이동이 용이, 충청권 주요 도시인 대전·천안·청주 등의 접근성도 우수
정주 기반 및 생활 편의 인프라 : 산업단지가 위치한 세종시는 계획도시 특유의 자족형 신도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주거·상업·교육·문화 인프라가 균형 있게 구성
오송첨단의료단지
산업유형: 제약, 의료
대표 입주사: 셀트리온

입지 및 산업 구성

위치 및 규모: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대에 위치하며, 약 1,131,054㎡규모(약 34만 평) 산업 특성: 의료 R&D와 바이오 분야 중심의 단지로, 국내 유일 CRO·CMO·CDMO 통합 지원 바이오 클러스터
핵심 시설: 신약개발지원센터/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임상 및 비임상 시험 센터/바이오의약 생산센터, 인체자원중앙은행, 고위험병원체센터 등 연구지원 기반시설
거점 기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Health)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지원기관 집적
의료기기 R&D 기반: 2013년부터 Medtronic Innovation Center(MIC Osong)가 운영 중이며, 최신 로봇수술 연구 및 트레이닝 센터가 구축되어 활발한 의료기기 연구·교육 활동 중
교통 접근성 및 연계 인프라 : 오송역(KTX)에서 차량으로 약 5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서울 및 전국 주요 도시와 뛰어난 접근성, 충북 자유경제자유구역과 연계된 바이오 헬스 클러스터로서, 국도·고속도로, 청주공항 등과도 접근성이 뛰어남.
원주의료기기산단
산업유형: 의료기기
입주사: 의료기기 기업군

단지 개요 및 구성

주요 핵심 시설: 의료기기종합지원센터: 원주시 지정면 기업도시로 200에 위치, 지상 10층, 연면적 약 31,968 ㎡ 규모로 운영되, 임대공장, 상설 전시장, 기술지원 장비, 대형 구내식당(300석), 회의실 등
의료기기산업기술단지: 태장공단길 일대에 위치, 지상 2층 4개동, 연면적 약 24,031 ㎡ 규모
동화의료기기생산공장: 문막읍에 위치한 생산시설로, 규모는 연면적 약 2,625 ㎡
혁신 클러스터로의 성장: 산업자원부의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로 지정되어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산단 기능 외에도 첨단 지원 기능을 강화한 혁신형 산업단지로 발전 중, 다양한 R&D 장비, 전시 및 인증지원, 장비 예약 플랫폼 운영 등을 통해 의료기기 연구·생산·마케팅까지 통합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슴
주거 환경: 단지가 위치한 원주기업도시에는 약 12,715세대의 주거단지가 조성
인프라 연계성: 다양한 연구기관, 대학(연세대 미래캠퍼스, 강원대 의료기기연구소 등), 병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건강 관련 공공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첨단 의료·교육·문화 인프라와 연계된 환경
고양방송영상밸리
산업유형: 미디어
입주사: 방송사 및 콘텐츠 기업

입지 및 산업 구조

위치 및 규모: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대 약 70만㎡ 규모로 조성 중
산업 구성: 방송시설용지 약 25%, 주상복합용지 약 20%
단독주택용지 및 근린생활시설 등 복합 기능을 갖춘 도시개발형 산업단지
사업 추진 현황: 2022년 착공되었으며,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함. 현재 부지 조성 공사 공정률은 약 33%. 사업비는 약 6,700억 원에서 7,200억 원 규모로 추진 중
주요 인접 시설: 일산테크노밸리토지 분양 예정 지역과 인접해 있으며, 킨텍스 제3전시장도 곧 착공 예정, 도시 기반시설형 산업단지 특성으로, 방송 제작시설과 주거, 편의시설이 함께 조성될 예정
평택브레인시티
산업유형: 반도체
대표 입주사:삼성전자

입지 및 규모

평택 브레인시티는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장안동 일대에 조성 중인 산업·주거·연구·문화 기능이 융합된 복합 첨단신도시
면적: 약 482만㎡(약 146만 평) 규모의 대규모 복합 도시
주요 유치 산업: 반도체, 미래모빌리티,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첨단 산업 중심
연구·교육 인프라 계획: KAIST 평택캠퍼스, 아주대 평택병원, 청정수소 시험평가센터, 미래차 통합성능평가센터등 산·학·연·병 클러스터 조성 예정
도로망: 평택~제천고속도로 ‘송탄 IC’, 경부고속도로 ‘안성 JC’, 세종~포천고속도로 ‘남안성 JC’, 평택~파주고속도로 ‘어연 IC’, 국도 1호선, 45호선 인접, 접근성 우수
철도망: SRT·수도권 1호선 평택지제역이 단지 인근에 위치하며, 서울 강남까지 약 20분대 접근 가능, 향후 GTX-A·C 연장 및 KTX 수원발 정차 예정으로 교통 편의 더욱 강화될 전망
주거 인프라: 현재 1만7,360가구 이상 대규모 공동주택 공급 중 (푸르지오, 한신더휴, 수자인, 대광로제비앙 등), 신도시 형태로 주거·상업·문화 인프라 연계형 설계
인접한 고덕국제신도시, 평택 소사벌지구의 편의시설 및 상권 활용 가능
김해주촌산단
산업유형: 기계, 의료
입주사: 중소기업 중심

입지 및 단지 개요

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망덕리, 농소리 일원
규모: 약 1,502,209㎡(150만여㎡) 규모로 2007년 지정 및 조성, 2014년 완료
입주현황: 약 153개 기업이 입주
업종 분포: 정밀기계, 전기전자, 광학기기, 의료 및 정밀 장비, 전자부품, 자동차 및 기타 운송장비 산업 중심
친환경 특성: 국내 최초 태양광 산업단지로서, 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되는 에너지 저감형 산단으로 조성
도로 연계성: 남해고속도로 냉정·서김해 IC 및 국도 14, 58호선, 우회도로가 인접
물류 인프라: 김해공항과의 접근성과 부산 신항만 배후 철도(장유역 예정)를 통해 물류 활용 생활 및 정주 인프라 : 정주 환경: 주촌면 일대가 자연친화적 환경과 함께 주거·도농 복합형 지역으로 발전 중
율촌산단
산업유형: 석유화학
입주사: 여수산단 연계

입지 및 산업 개요

위치: 전남 여수시 율촌면, 순천시 해룡면, 광양시 광양읍 일원에 걸쳐 조성된 광양만권 중심 산업단지
제1산단: 약 9.11km² (911만㎡), 276만 평 규모로 조성되었고, 부지 조성 및 도로 인프라 등 기반시설이 거의 완비
유치 업종: 1차 금속, 조립금속, 기계장비, 전기·전자 등 주력 제조업 중심.
광역 교통망: 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가 단지 북쪽을 통과해 수도권과 연결
철도: KTX가 연결되어 수도권까지 2시간 30분대 접근 가능
물류 접근성: 광양항을 활용한 해상 물류 활용이 유리하며, 여수공항 포함 여러 공항과 연결
자연친화적 환경: 광양만권의 주거지역 및 광역도시권과 인접해 있어 서남권 중심 산업단지에 걸맞은 자연환경과 정주 기반이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