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lueprint 3 — 경력 후반기(전환): 이력 재설계·전환 준비

🧓 Blueprint 3 — 경력 후반기(전환) 이력 재설계·전환 준비

단절이 아니라 재정의와 중첩 전환의 시기입니다. 기존 틀(인벤토리·브릿지·리스킬·지속성)을 유지하되, 경력 최고점 정리(My Career JD)독립/은퇴/재취업 준비를 명확히 추가했습니다.
핵심 — 지금까지의 경력을 내 인생 JD로 재정의하고, 독립/은퇴/재취업의 경로를 동시에 설계합니다. 추상 아닌 예시와 즉시 실행을 제공합니다.

① 이력 인벤토리·재정의

  • 핵심 강점 재정의
    경력 전반의 성과·역할을 모아 핵심 가치(문제해결·운영·관계·기술 등)로 묶습니다.
    예시 — “생산관리 18년” → “병목 제거·원가절감·안전표준화” 3축.
    실행 — 최근 10년 프로젝트를 5줄 요약(문제/역할/결과/수치/교훈)로 정리.
  • 가치 제안서(One-pager)
    조직/고객에 주는 가치를 1장으로 요약합니다.
    예시 — “2주 진단→개선안 10개→90일 내 리드타임 20% 단축 로드맵”.
    실행 — 상단 한 줄 가치, 중간 3대 강점, 하단 포트폴리오 링크·연락처.
  • 증빙 체계화
    성과지표·추천서·산출물을 링크·파일로 재정리(신뢰 체인 강화).
    예시 — 전/후 지표 캡처, 발표 PDF, 고객 추천 메일.
    실행 — 폴더: 01_성과지표 / 02_산출물 / 03_레퍼런스 / 04_자격·수료.

② 브릿지 프로젝트·실험

  • 인접 전환 파일럿
    현재 전문성과 겹치는 역할(컨설팅, 교육, PM 등)로 작은 실험을 진행합니다.
    예시 — 개발자→사내 교육(테크톡 3회) / 품질팀장→중소기업 품질 컨설팅 1건.
    실행 — “파일럿 제안서 1장”(대상/기간/성과/요구자료/산출물) 템플릿 준비.
  • 파트타임/프로보노
    리스크 낮은 방식으로 시장 반응 체크.
    예시 — 상공회의소 멘토링 2회, 대학 캡스톤 멘토 1학기.
    실행 — 활동 후 “후기 3개 + 전/후 변화 5줄” 수집→포트폴리오 첨부.
  • 수주 패키지
    제안서·견적·샘플 산출물을 묶어 바로 제안 가능한 패키지로 구성.
    예시 — “공정 개선 패키지: ①진단 ②워크숍 ③현장 교육 3회”.
    실행 — 가격 2안(라이트/스탠다드), 일정표, 미리보기 이미지 포함.

③ 경력 최고점 정리 — My Career JD(JobDescription)

  • 내 인생 JD(직무기술서) 프레임
    문제 유형 / 해결 방식 / 반복 성과 / 남긴 제도·산출물 / 재사용 포인트로 내 이력을 JD화합니다.
    예시 — 문제: “납기 지연” / 해결: “TOC+표준공수” / 성과: “납기준수 92%→98%” / 산출물: SOP·대시보드 / 재사용: 교육 커리큘럼.
  • 의미 분석 → 아이디어 도출
    각 항목이 뜻하는 역량을 추출하고, 독립·재취업·강의·컨설팅 아이디어로 변환합니다.
    실행 — 항목마다 “무엇을 제공할 수 있나?” 1문장 작성 → 서비스·강의·패키지 후보 리스트업.
  • 정량화의 어려움 넘어가기
    절대 기준이 없을 때는 전/후 비교반복성으로 증빙합니다.
    예시 — “3개 사업장에 동일 방법 적용, 평균 리드타임 18% 단축”.

④ 은퇴준비 시기의 독립·재취업·전환 설계

  • 재정 준비(런웨이)
    생활비 6~12개월 확보·고정비 10~20% 절감·세무/보험 점검.
    실행 — 월한도·손익표 시트, 구독/카드 정리, 세무 상담 1회.
  • 선호/가능/준비 3분석
    하고 싶은 것(선호) / 할 수 있는 것(가능) / 이미 준비된 것(준비)을 분리하여 교집합을 우선 실행.
    예시 — 선호: 교육 / 가능: 공정개선 / 준비: 표준화 문서 → “제조 교육+개선 컨설팅” 하이브리드.
  • 경로 예시
    프리랜스: 자문·강의·프로젝트 계약(파일럿 3건→후기 5문장씩).
    창업: 경험 기반 소규모 서비스(진단→교육→개선 패키지).
    재취업: 시니어/계약직/파트타임 포지션, ‘브릿지 실적’ 중심 이력서.
  • 서비스 정의·포지셔닝
    “무엇을 누구에게 어떤 기간·성과로” 제공할지 한 문장 규정.
    예시 — “제조 중소기업 대상 90일 내 불량률 20% 감소 컨설팅”.
  • 사업화 준비(서비스·상품 구체화)
    독립적 활동(자문·강의·프로젝트 등)을 사업화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해야 합니다.
    정의 — 무엇을 누구에게, 어느 기간에, 어떤 성과로 제공할지 명확히 하기
    샘플 자료 — 미리보기 산출물(성과 그래프, 교안, 리포트) 준비
    보상 체계 — 자신의 시간과 전문성에 합당한 보상 구조 설정(무료 봉사에서 벗어나기)

    예시 — “제조 중소기업 대상 90일 불량률 20% 감소 프로그램: ① 현황 진단 → ② 워크숍 2회 → ③ 개선안 리포트 제공” → 이렇게 패키지화하면 사업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겸직·윤리·보안
    회사 규정·이해상충·정보보안을 준수(근무시간 외 진행, 회사 자산 미사용, 필요 시 승인).

⑤ 학습·자격 전환 — 목적에 맞게 ‘3갈래’로

  • A. 도전적 학습(새 분야 탐색)
    현업 감각이 있을 때 전혀 새로운 학문·기술에 도전(연결 관점 유지).
    예시 — 제조 → 데이터/AI 기초, 교육 → 온라인 콘텐츠 제작, 금융 → 핀테크 이해 과정.
    실행 — 단기 코스 수료 후 30일 내 작은 실험(블로그 3편/미니분석/파일럿 강의 1회).
  • B. 전문화 강화(불규칙 경력자)
    잦은 직무·업종 변경 등 전문화 미흡자는 집중적 자격·인증으로 ‘표준 언어’ 확보.
    예시 — 무역: 국제무역사·무역영어 / HR: 노무·HRD 전문자격 / PM: PMP·Agile.
    실행 — “자격 준비 90일 플랜” + 과거 사례를 자격 언어로 재서술(포트폴리오 재편).
  • C. 현업 기반 심화(경력 풍부자)
    경륜 위에 더 도전적인 심화 학습으로 스케일 업.
    예시 — 생산/품질: ESG·안전보건 최고위, IT: 보안/AI/클라우드 심화, 리더: MBA 모듈·글로벌 리더십.
    실행 — 수료 즉시 내부/외부에 케이스 1p(문제/접근/결과/재사용) 공개 → 리드 확보.

⑥ 지속 가능성(시간·재정·건강)

  • 시간 구조
    본업·브릿지·학습·독립 준비를 주간 블록으로 고정.
    예시 — 화/목 20:00~21:30 학습, 토 09:00~12:00 독립 프로젝트, 일 18:00 주간 계획.
  • 재정 안전망
    현금흐름·비상자금·보험·세무 기본 세팅, 고정비 다이어트.
  • 건강 루틴
    수면 7시간, 주 3회 40분 운동, 분기별 검진 체크 — 실패 주간엔 “10분 대체 루틴”으로 연속성 유지.

⑦ 핵심 메시지

• 후반기는 재정의중첩 전환입니다 — 내 인생 JD로 경력을 다시 세우세요.
브릿지로 작게 검증하고, 독립/은퇴/재취업을 병행 설계하세요.
• 학습·자격은 목적에 맞게 도전/전문화/심화로 나눠 실행하세요.
시간·재정·건강의 지속성 설계가 성패를 가릅니다.

심화 읽기